재산세 납부 기간 · 방법
🏠 재산세 납부 기간 · 납부 방법 · 절세 팁 총정리
집을 소유하고 있다면 매년 여름·가을이면 돌아오는 세금이 있죠. 바로 재산세입니다.
특히 주택분 재산세는 7월과 9월 두 차례 나눠 부과되다 보니, "왜 두 번 내야 하지?" 하고 헷갈리는 분들이 많습니다.
오늘은 재산세 납부 기간, 납부 방법, 절세 팁까지 한눈에 정리해 드리겠습니다.
✅ 재산세 납부 기간
재산세는 매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주택·토지·건축물·선박·항공기를 소유한 사람에게 부과됩니다.
납부 일정
- 💠1기분 (7월 16일 ~ 7월 31일) → 주택분 세액 1/2 + 건축물 + 선박 + 항공기
- 💠2기분 (9월 16일 ~ 9월 30일) → 주택분 세액 1/2 + 토지분
- 💡 주택분 세액이 20만 원 이하라면 7월에 한 번만 전액 부과
⏰ 기한을 넘기면 세액의 3% 가산금이 붙습니다. 반드시 기한 내 납부하세요!
👉 위택스에서 재산세 납부하기
💳 재산세 납부 방법
온라인 납부
- 💠위택스(WeTax) 홈페이지·앱
- 💠서울시 이택스(ETAX), STAX 앱
- 💠인터넷 지로(Giro)
- 💠지방세입계좌(고지서 기재 번호)
- 💠카카오페이·네이버페이·페이코 등 간편결제
오프라인 납부
- 💠전국 은행·우체국 창구
- 💠은행 CD/ATM (카드·통장 납부)
- 💠ARS 납부 (1599-3900, 1899-0341 등)
- 💠편의점 납부 (세븐일레븐, 미니스톱 등 일부)
비대면 납부
- 💠고지서 내 QR코드 스캔 → 모바일 납부
- 💠자동이체 등록 → 납부일 자동 출금 + 세액 공제
💡 재산세 절세 팁
- 매매 시기 조정: 6월 1일 이전·이후 잔금일에 따라 납세 의무자가 달라집니다.
- 공동명의 활용: 신용카드 실적·혜택을 고려해 합산 납부하면 유리합니다.
- 전자고지·자동이체: 세액 공제 혜택 + 납부일 놓침 방지.
- 감면 혜택 확인: 1세대 1주택, 장애인, 고령자, 다자녀 가구 등 감면 대상 확인 필수.
- 카드사 혜택 활용: 일부 카드사는 지방세 납부 시 무이자 할부·포인트·캐시백 제공.

▲ 재산세 납부 방법